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

인도 - 아라비아 수체계

by N 스톤 2024. 7. 13.
반응형

우리가 오늘날 셈하고 표기하는 수체계는 너무 익숙하여 분석하기가 어려율 수도 있다. 이 수체계는 고대 인도에서 비롯된 수 기호들을 사용하여 10진법 셈체계와 위치기수법이 결합된 것이다.

이 조합은 단순하면서도 능륭적인 체계를 이뤄 계산을 수월하게 하고 크고 작은 수를 매우 간단히 표현하도록 해준다.

 

아라비아수체계

목차

1. 숫자의 기원

2. 서양으로 전파된 인도-아라비아 숫자


 

1. 숫자의 기원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는 숫자들(1,2,3,4,5,6,7,8,9)1세기의 인도 문화에서 비롯된, 브라흐미 숫자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브라흐미 숫자들은 오늘날의 형태와 매우 비슷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숫자 1은 역사를 통틀어 많은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단순한 형태인 한 획으로 되어 있다.

 

아라비아수체계

 

브라흐미 숫자들은 10, 20, 100...을 서로 다른 기호들로 나타내며 암호 체계의 일부로 사용되어졌다. 이 기호들과 자릿값 체계를 결합한 것은 획기적이었으며, 이 결합이 처음으로 표현된 출처는 제각기 다르다.

네덜란드 출신의 수학사학자 더크 스트루이크에 따르면, 가장 오래된 기록은 595년 인도인들이 많은 판에 등장한다. 여기에는 346일이 자릿값 체계인 10진법으로 쓰여 있다.

다른 사람들은 아리아바타가 이 체계를 처음 개발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지만, 인도의 자이나교도들이 458년 펴낸 우주론에 관한 책 로카비바가에서 10진 자릿값 수들을 나타낸 것으로 주장되기도 한다.

 

아라비아수체계


 

2. 서양으로 전파된 인도-아라비아 숫자 

 

12세기 아랍 과학사학자 이븐 알키프티가 정리한 학자들의 연대기에 따르면, 766년 아바시드의 칼리프 알 만수르가 이슬람 제국의 수도를 바그다드로 옮기고, ‘지혜의 책들의 창고를 설립한 직후, 한 인도 학자가 도서관에 브라마스푸타 싯단타의 사본을 가져왔다.

브라마굽타가 지은 이 책에는 10진 자릿값 체계의 사용법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의 아라비아어 번역판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9세기 아바시드의 7대 칼리프 알 마문의 통치기 동안, 철학자 알 킨디와 수학자 알 콰리즈미의 저서를 통해 비로소 아라비아 학자들이 새로운 체계로 바꾸어가기 시작했다.

 

아라비아수체계

 

이슬람 세계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모두 이 숫자들을 늦게 채택하였다. 동양과 서양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숫자들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12세기에 알 킨디와 알 콰리즈미의 책들이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마침내 유럽에 도달한 것이 바로 서부 아라비아 숫자였다. 이때까지 유럽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것은 로마 숫자였다.


 

반응형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카 파치올리와 회계 수학  (0) 2024.07.18
중세 유럽 수학  (1) 2024.07.17
대수학의 도입  (4) 2024.07.16
0의 간략한 역사  (0) 2024.07.15
중세 인도 수학  (0) 2024.07.12
아르키메데스  (0) 2024.07.10
입체 도형  (0) 2024.07.09
피타고라스  (0) 2024.07.08